💳2030들의 첫 저축의 시작
직장인이 처음 된 사람들은 저축에 다들 관심이 있을 것이다.
사회 첫 초년생 때 첫 월급을 받을 때 어떻게 했나?
처음에 첫 월급이니까 선물사 주느라 적금을 안 하거나
내가 좋아하는 걸 사느라 적금을 안 하다 보면
어느새 소비 통제가 안되어 저축을 못하는 사람이 되어있을 수 도 있다.
반면 아무것도 생각 안 하고 내가 평소 생활했던 거보다 더 많은 돈을 받았기 때문에
직장인 이전 생활비를 제외하고 모두 저축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시작한 두 사람의 경우 몇 달이 지났을 때 저축률을 확실히 달라진다.
2030 모두에게 저축률은 현재 상황에 따라서 다르다.
자취 여부, 교통 여부 각자 맞는 형편에 맞춰서 저축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만은 확실하다. 첫 월급부터 돈을 쓰느라 돈을 적게 모은 사람들은
이후 저축률을 올리기가 힘들다.
이미 많아진 소비 패턴으로 익숙해지면 그걸 줄이기는 너무 어렵다.
🙋♀️그럼 나의 저축률은?
나는 처음에 돈을 모으지 않았을 때 매달 저축률은 약 40~50% 정도였다.
사고 싶은걸 사고, 여행 가는 것을 좋아해서 심지어 저렇게 모은 저축금액도 모두 투자가 아니라
소비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 당시 40~50% 저축하는 것도 그 당시에겐 나는 잘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돈을 모으기로 마음을 먹다 보니,
돈을 열심히 모으는 사람들의 얘기를 많이 듣게 되었고, 대부분 높으면 70%
정말 대단하신 분들은 80%까지 저축을 하는 분들도 계셨다.
이러한 분들을 벤치마킹을 하여 현재 나의 저축률은 60~70% 정도로 맞춰서 저축을 하고 있다.
👍저축률 올리는 방법
그럼 어떻게 하면 저축률을 높일 수 있을까?
1. 선 저축, 후 소비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
돈을 모으기로 결심했다면 본인의 한 달 고정 예산을 세우고
그 예산을 뺀 모든 돈을 저축해야 한다.
소비는 끝이 없다. 소비 후 남는 돈을 저축하겠다는 것은
엄청난 의지력이 아니면 매우 힘들다.
그리고 사람은 돈이 없으면 어떻게든 아낄 생각을 하는데
통장에 돈이 있으면 마음이 흔들리고 소비가 쉬워진다.
이러한 점은 돈을 모을 때 가장 위험한 요소이니, 반드시 예산 외의 모든 금액은 선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자.
2. 작은 누수도 반드시 지키자
돈을 모은다고 마음을 먹고 이 포스팅을 보고 있는 분은
앞의 내용은 어느 정도는 지키고 있을 것이다.
그럼 그다음은? 내 고정 예산을 돌아봐야 한다.
내가 잡은 고정예산이 정말 필요한 것인가?
아니면 나도 모르는 새 세고 있는 곳은 없는가를 체크해봐야 한다.
혹은 놓치고 있는 혜택이 있는지도 점검해봐야 된다.
나의 경우 고정예산을 리모델링할 때,
가장 큰 고정지출이었던 핸드폰을 알뜰폰으로 교체했고, 핸드폰 교체주기를 줄이기로 했다.
사용하고 있는 구독 서비스가 꼭 필요한지 점검했다. 언젠가 보겠지라고 결제했던 구독 서비스를 정리했다.
만약 넷플릭스와 왓챠를 같이 구독하거나 이런 경우가 있다면 불편하겠지만
두 달 정도 돌아가면서 구독 서비스를 신청해보자. 물론 귀찮지만 돈을 모으겠다고 결심했다면
이런 귀찮음은 감수해보도록 하자.
커피값을 점검해보자. 예전엔 아무 생각 없이 쓰던 커피값을 매달 커피 예산을 잡은 뒤
해당 예산안에서 쓰려고 지금은 노력 중이다.
이렇든 본인의 소비에서 누수가 되는 부분을 확인하자.
3. 부수입을 늘리자
아끼는 것이 가장 높은 저축률을 높이는 방법이지만.
이미 아낄 만큼 아꼈지만, 저축률이 늘지 못하다면 어쩔 수 없다.
추가 수입을 내서 저축을 해야 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특근 및 인센티브 금액을 모두 저축으로 돌리는 방법이 있고
그런 것이 아니면 그 외 부수입을 찾아보도록 하자.
요즘은 부업의 세계라고 할 만큼 인터넷 상의 다양한 부업이 존재한다.
돈을 모으기로 결심했다면 본인이 잘할 수 있는 분야에서 부업을 찾아보기를 바란다.
잘 모르겠다면, 현재 내가 구축하고 있는 파이프 라인을 참고해보길 바란다.
https://ordinary-money.tistory.com/52
'재테크 > 목돈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모으기 기초 가계부 쓰기 -뱅크샐러드 어플 제대로 쓰는 방법 (예산 카테고리 설정, 내계좌 입금, 카드대금) (1) | 2021.06.03 |
---|---|
돈을 모으기로 결심했다면 바로 실행해야될 3가지와 마음가짐 (2) | 2021.05.28 |
미니스탁 배당금 재투자 방법 환전가능계좌에서 다시 투자하기(미니스탁 치명적인 단점) (0) | 2021.05.17 |
토스 증권 이벤트 1주 팔은 뒤 토스 증권 계좌에서 출금하기(토스 증권 계좌 출금 가능일 확인) (0) | 2021.05.13 |
[경제용어] SK텔레콤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어닝서프라이즈가 뭔가요?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