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
이전에 회사 퇴직연금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한 적이 있다.
DC형의 퇴직연금을 이용하는 분들의 경우, 본인이 원하는 상품으로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려드렸는데, 오늘은 직접 내 퇴직연금의 운용현황을 점검해보고
상품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한다.
먼저 퇴직연금의 DC형에 대해서 모른다면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자!
🧐하나은행 퇴직연금 확인하기
먼저 우리 회사는 하나은행에 퇴직연금계좌가 되어있어서,
오늘의 설명은 하나은행 어플 내용이 주를 이룰 것이나,
아마 모든 은행 어플이 대부분 비슷한 구성으로 되어있을 것이니 어려워말고 따라오면 된다.
하나은행의 경우 뱅킹 > 상품관리> 퇴직연금/IRP 메뉴에서 계좌관리 메뉴를 선택한 뒤,
기업형 DC 계좌를 선택한다.
💰하나은행 퇴직연금
해당 계좌에 들어가면, 원리금 보장상품, 펀드 투자 상품, 현금성 자산 총 3가지로 나눠서 보인다.
만약 본인이 퇴직연금을 하나도 관리하고 있지 않았다면
아마 본인의 퇴직연금은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되어있을 것이다.
🏆정기예금으로 퇴직연금 운용하기
만약 난 원금을 잃고 싶지 않고 정기예금으로만 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본인의 퇴직연금을 돌아볼 필요는 있다.
왜냐하면 각 정기예금 상품마다 연이자가 다르기 때문에
나의 경우를 보자 나는 회사에서 처음 들어준 신한은행 정기예금 1년과
내가 추후 변경한 하나 저축은행 상품 두 가지 있다.
두 개의 경우 이자율을 확인해보자.
현재 최초 가입한 신한은행 정기예금은 이율 0.87%
추후 변경한 하나 저축은행 정기예금은 1.9%이다.
약 1% 차이가 나고 있다.
나도 오늘 확인하면서 알았지만, 아직도 저 0.87% 예금에 돈이 운용되고 있었던 것 같은데
이왕 예금으로 굴리겠다고 해도 높은 이율의 상품에 가입하도록 하자
💡퇴직연금 상품 변경하기
보유상품 현황에서 현재 보유상품 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내가 납입한 퇴직금에서 일정 비율로 상품을 변경해서 넣을 수 있다.
아까처럼 1% 미만 정기예금 상품으로 퇴직금이 운용되고 있다고 하면
반드시 보유상품을 변경해주자
먼저 0.8%로 운용되고 있던 나의 신한은행 정기예금 1년을 전체 매도를 선택해서 넘어가면 된다.
물론 전체 매도가 아니라 일부 매도 만원 할 경우는 일부 매도를 선택해서
내가 원하는 만큼 상품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수 상품 선택하기
매도할 금액을 그럼 어떠한 상품으로 매수를 할지를 정하는 단계로 넘어온다.
이 경우 기존의 내가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옮기려면 불러오기를 해도 되지만,
새로운 상품을 보고 싶다면 위의 상품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매수 상품 추가에서 상품 확인하기
먼저 매수상품 정기예금 탭에 들어가면 매우 낮은 위험에 원금손실이 없는
정기예금 상품을 모두 볼 수 있다.
한눈에 봐도 내가 가입한 0.8% 정기예금 상품은 최저금리 상품임을 알 수 있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농협, 기업은행 등의 상품도 가입이 가능하고
저축은행 상품으로 갈 경우 1% 중반대 정도로 금리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어차피 5,000만 원까지는 사용자 원금보장이 되기 때문에
나의 경우 저축은행 상품으로 예금을 운용해보려고 한다.
📈펀드 상품으로 운용하기
만약 정기예금 금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펀드형 상품으로 눈을 돌려보도록 하자
펀드형 투자 전에는 투자성향을 분석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해당 투자 성형으로 가입할 수 있는 펀드 상품이 모두 보이는데,
이처럼 적당한 대답을 하면 적극 투자형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럴 경우
공격투자형 상품은 볼 수 없다.
나의 경우 현재 전기차 펀드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런 펀드상품은 공격투자형이 나오는 사람에게 만
조회가 가능하다.
이처럼 모든 펀드상품을 보고 싶다면 공격투자형이 나오도록 설문에 대답해야
가입할 수 있는 모든 상품을 볼 수 있다.
펀드상품은 1년 수익률이 볼 수 있으나, 해당 수익률은 작년 데이터일 뿐이고
이후 우리의 수익률과는 다를 수 있음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그리고 적금상품과 다르게 당연히 보수도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펀드상품의 경우 투자 시 100% 투자가 불가능하고 80% 금액만 투자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아무래도 원금손실 상품이기 때문에, 퇴직금 보존을 위해서 해당 조건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나의 퇴직금으로 펀드에 투자가 가능하다.
내가 원하는 주식에 투자는 불가능하지만, 내가 괜찮아 보이는 시장에는 투자가 가능하다.
즉, 내가 전기차 배터리가 유망하다고 생각할 경우 해당 테마의 펀드상품을 찾아서
투자가 가능하다. 현재 수익률은 3.53%
퇴직연금의 경우 장기간 투자가 가능하고,
그리고 내 눈에서 잘 안보이기 때문에 묻어 놓고 투자하기 매우 좋은 환경이다.
본인의 퇴직금을 지금 한번 살펴보고
너무 낮은 예금에 들어가 있다면, 높은 저축은행 상품으로 변경해주고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펀드상품도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재테크 > 목돈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기업에 투자하자. ESG의 개념과 간단한 ESG 투자방법(카카오페이) (0) | 2021.06.22 |
---|---|
사회초년생들의 소비통제를 위한 고정지출 관리하는 두가지 방법 (신용카드 노예 벗어나는 방법) (0) | 2021.06.19 |
돈모으기 기초 가계부 쓰기 -뱅크샐러드 어플 제대로 쓰는 방법 (예산 카테고리 설정, 내계좌 입금, 카드대금) (1) | 2021.06.03 |
돈을 모으기로 결심했다면 바로 실행해야될 3가지와 마음가짐 (2) | 2021.05.28 |
2030 직장인의 저축률은 어느정도가 좋을까? 내 저축률과 저축률 높이는 방법 (1)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