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들의 첫 월급을 받게 되면
기존에 받았던 용돈보다 갑자기 많은 돈이 생기게 된다.
이때 확실한 소비 통제 습관을 갖지 않는다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내 소비를 보게 된다.
특히 이때 신용카드라도 쓰게 된다면?
매달 카드값이 다 나가고 다시 신용카드로 한 달을 보내게 되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고정지출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오늘은 고정지출을 관리하는 3가지 방법을 말해보려 한다.
🔖카테고리 별 예산을 설정하자
보통 한달 예산이 얼마 정도 되냐고 묻는다면 정확히 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보통 신용카드가 나가고 남은 돈이 내 예산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관리를 하게 된다면?
앞으로도 신용카드의 노예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제부터 우리는 각 내 소비패턴을 파악한 뒤,
카테고리별로 한 달 예산을 측정해서 사용하자
카테고리 별 예산을 설정할 때는 과거의 내 소비패턴을 점검해보고 설정하고
실제 적용하면서 최적의 예산을 맞춰가면 어느 순간 항상 내가 해당 예산 내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이런 카테고리 별 예산을 짜게 되면,
내가 쓸데없이 너무 많은 돈을 쓰는 카테고리가 나오게 될 것이다.
카테고리 별로 관리를 하면 내가 옷을 많이 사는 사람은 해당 카테고리를 매일 확인하면서
아 이번 달은 이미 예산을 다 썼으니 의식적으로 해당 카테고리에 돈을 쓰는 것을 멈추게 된다.
이렇게 줄인 소비 금액은 반드시 금융상품의 투자나 저축으로 이동시켜보자.
어떠한 재테크보다 내 수입률을 가장 쉽고 높이 올려주는 방법이다.
📅연별 고정지출 계획도 잡아야 한다.
흔히들 고정지출이라고 하면 월별 고정지출만 만들어서 관리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사람 사는 인생이라 매달 내가 생각지도 못한 지출이 발생한다.
경조사, 자동차 관련 세금, 겨울이 되면 사야 하는 코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지도 못하는 지출은 생각보다 정형화되어있다.
우린 앞으로 이러한 지출을 생각해서 연별 고정지출을 만들어서 관리해보자.
연에 발생되는 특별한 고정지출은 아래와 같다.
- 여름휴가 여행비
- 겨울철 코트비
- 경조사 비
- 자동차 세(1년에 2번)
- 가끔 큰 지출이 일어나는 취미생활비용(콘서트, 취미 장비 구매, 헬스 등록 등)
이런 비용은 비정기적이라고 생각되지만 1년으로 보게 되면 꽤 정기적으로 발생된다.
앞으로 우린 이런 비용을 관리하기 위한 연 고정 금액을 계산하여 그 금액을 1/12로 나눠
매달 오아시스 자금이라는 이름으로 저축을 시작해보자.
나의 경우 매달 25만 원 정도를 저런 식으로 발생되는 이벤트 비용으로 별도로 저장을 해놓는다
이럴 경우 큰 상품을 살 때 돈 때문에 망설여지는 일이 적고 이런 금액들이 있음으로써
연 고정지출을 관리하게 되면 월 고정지출 비용이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지켜져 나가기 때문에
신용카드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러한 연별 고정지출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소비가 아니기 때문에 CMA 통장에 넣어둘 경우
지속적인 수입원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별 고정지출 금액이 정해졌다면 별도 예금통장이 아니라, 꾸준히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카카오톡 세이프 박스, 카카오페이 미니 금고, CMA통장에 꼭 넣어두어 별도의 수입을 내는 것도 노려보자!
'재테크 > 목돈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스탁] 소액으로 ETF 투자하는 방법 해외 ETF 시작하기( S&P500, QQQ 소액투자) (0) | 2021.06.30 |
---|---|
ESG기업에 투자하자. ESG의 개념과 간단한 ESG 투자방법(카카오페이) (0) | 2021.06.22 |
숨어있는 시드머니 퇴직연금 점검하기- DC형 퇴직연금 펀드 운용방법(feat.하나은행) (0) | 2021.06.06 |
돈모으기 기초 가계부 쓰기 -뱅크샐러드 어플 제대로 쓰는 방법 (예산 카테고리 설정, 내계좌 입금, 카드대금) (1) | 2021.06.03 |
돈을 모으기로 결심했다면 바로 실행해야될 3가지와 마음가짐 (2) | 202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