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목돈마련

[경제용어] 안전자산과 위험 자산 (안전자산의 대표 주자 금)

김평범님 2022. 3. 13. 21:35
반응형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투자를 할 때 자주 듣는 용어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은 내가 투자한 돈을 잃는지 여부에 따라서 나눠진다.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보통 일반적으로 안전 자산이라고 하면

투자를 했을 때 손실률이 적은 안전한 자산을 의미하며, 변동성이 낮고 위험이 적은 상품들을 말한다.

정부가 발행한 국채, 기축통화로 이용되는 달러, 현물 자산이 있는 금과 은을 안전자산이라고 한다.

 

반대로 원금 손실이 될 수 있는 주식을 위험자산으로 분류를 한다.

위험자산은 리스크에 따라 높은 기대수익률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는 상품을 말한다.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의 투자시점 

보통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은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번 22년 전쟁이 터지며 국제 경제 시장에 대한 우려로 하락세가 지속 중이다.

2022년 3개월간 S&P500 하락

경제 위기상황과 인플레이션이 두 가지 악재가 겹치니 주식은 하락하는 반면,

안전자산의 대표주자로 언급되는  금의 가격이 요즘 수직 상승하고 있다.

 

 

🪙안전자산의 대표 주자 금

금은 역사 상으로 인정되는 안전자산이다.

실제로 현금은 신용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금융 상품이지만

금은 실제로 실물이 가치가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인식이 된다.

2022년 최근 3개월 금값 상승

이렇듯 경제 시장 우려가 커지는 경우 투자를 해야 한다면 

위험한 주식시장보다는 안전자산인 금값에 주목해서 투자하는 분들도 많이 있다.

 

 

🤔안전자산은 늘 안전할까?

사실 안전자산이라고 해서 100% 돈을 벌기만 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대표 안전자산인 금 가격도 늘 가격 변동이 발생하고 하락하는 시점도 있기 때문이다.

10년간 금가격의 변화

즉 안전자산이라고 해도 손실이 아예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며

시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율을 조절하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