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들도 요즘 재테크에 다들 관심이 많다.
내가 본 많은 경제 관련된 얘기를 하시는 분들이 말하는 첫 번째는
시드머니를 모으라고 말을 한다.
가끔 경제 콘텐츠 중에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적금과 예금으로 돈을 모으는 것이 어리석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나는 그러한 부분은 잃지 않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결과론적인 얘기라고 생각한다.
사회초년생의 경우 적금과 예금을 이해하면서
돈을 모으는 힘을 키우는 것이 추후 재테크를 할 때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돈을 어느 정도 모은 상태가 아니라 나의 시드머니가 0인 상태인 사람들은
무조건 가장 먼저 적금과 예금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해 투자를 위한 시드머니를 모으라고 추천하고 싶다.
💵예금과 적금
그럼 사회 초년생이 돈에 관심이 있다고 하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무엇일까?
- 예금 :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한번 은행에 맡기 뒤 만기일이 오면 원금과 이자를 더해서 받는 형태
- 적금 :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지속적으로 추가 납입하여 만기일이 오면 원금과 이자를 더해서 받는 형태
두 상품의 가장 큰 차이는 추가납입 여부 정도로 볼 수 있다.
예금은 이미 모아둔 큰돈을 넣어 이자를 받는 형식이라면
적금은 아직 내가 종잣돈 즉 시드머니가 없을 때 시드머니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의 경우가 12개월짜리 예금과 적금 상품을 들었을 경우 납부하는 방식이다.
예금의 경우 대부분 큰돈인 시드머니가 생겼을 경우 일반통장보다 이자가 좋은 예금통장에 넣어 이자를 받는 형태로 이용하고
적금의 경우 아직 시드머니가 없을 경우 매달 100만 원씩 납입하여 1,200만 원을 모으는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로 예금과 적금의 사용방법이 다르다.
😎적금 고르기
예금의 경우 그냥 한번 납입 후 만기까지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적금의 경우 지속적으로 돈을 넣어줘야 하는 상품이다.
대부분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적금의 경우 매달 특정 금액을 넣는 적금 상품을 알고 있으나다양한 형태의 적금들을 고를 수 있다.
일단 매달 넣는 적금 상품 외 다른 상품들은 아래와 같다.
자유적금
프리랜서로 만약 수입이 일정하지 않다고 하면 자유적금을 이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자유적금을 이용할 경우 적립금액이 확정되지 않고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금액만큼 입금이 가능하다.
(대부분 적금상품의 경우 분기별, 월별 최대 입금 금액은 있으니 이러한 부분은
은행 상품마다 다르니 확인은 해보셔야 한다.)
일정 수입이 없다고 적금을 멀리하지 말자! 방법은 있다.
주별 적금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 월마다 납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만약 알바 등 적은 금액을 버는 사회 초년생의 경우
카카오 뱅크에서 이미 만들어진 26주 적금 등을 활용하길 추천한다.
매주마다 일정 금액을 모으거나, 천 원 혹은 많게는 만원씩 증액하여 돈을 모으는 습관을 만들어준다.
적금은 큰돈을 모아야 한다는 관념을 깨어 작은 돈을 모으는 습관을 마련할 수 있다.
🧮적금과 예금의 이자 계산 방법
자! 사실 여기가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적금과 예금의 경우 큰 틀로 사용법이 다른 것도 있으나 실제로 받는 이자에서도 차이가 생긴다.
만약 예금 이자 3%와 적금 이자가 3% 있다고 가정하자.
앞에서 본 예금으로 1,200만 원과 적금으로 모은 1,200만 원은 1년간 결과적으로 나온 원금은 동일하나
이자에서는 차이가 있다.
아래의 표에서 예금과 적금 이자 계산이 되는 과정을 보자.
분명 납입액의 경우 1,200만 원으로 동일하지만 예금이자가 적금에 비해 훨씬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적금의 경우 회차가 지나갈 때마다 해당 이자를 전체 적용한 이자를 주는 것이 아니라
남은 납입일자를 계산해서 이자가 측정된다.
이렇기 때문에 목돈을 모으고 큰돈을 만들었을 때는 적금이 아니라 예금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제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알았다면
돈을 모을 가장 기본적인 준비가 되었다. 다들 시드머니를 모으기 위해 예금과 적금을 적극 활용해보도록 하자!
'재테크 > 목돈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미니스탁으로 배당금 받기 (배당기준일, 배당일 차이 알기) (0) | 2021.04.09 |
---|---|
돈 모으는 방법 기초 마인드 잡기 - 🔖통장 이름 붙이기 (1) | 2021.04.08 |
사회 초년생 돈이 모이는 월급 프로세스 만들기 - 통장 나누기 실전 방법 (0) | 2021.03.30 |
돈모으기 첫 단계 목표 설정을 위한 머니 로드맵 그려보기 (머니 로드맵 엑셀파일 제공) (0) | 2021.03.29 |
숨겨진 시드머니를 발견하기! 퇴직연금에 숨겨진 비밀(feat.하나은행) (0) | 2021.03.21 |